전주시가 매년 수억 원대를 보조하고 있는 민간위탁기관인 전주전통문화센터가 시민들을 위한 환원과 체험프로그램 운영보다는 수익사업에만 급급하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시의 지원금이 결코 적지 않은데에도 불구하고, 체험료가 비싸며 체험 프로그램도 대부분 도내 위주로 이어지면서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리고 있다.
지난 2002년 8월 개관한 전주전통문화센터는 지난 2004년부터 3차례 연속 서울의 한국문화재단이 민간위탁 수탁자로 선정돼 6년째 운영을 하고 있다. 때문에 시에서 지난해 8억5000만원을 지원한 가운데 전통문화센터는 체험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체험료 등으로 한해 동안 23억원의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주전통문화센터가 전통예술공연, 전통음식관 운영, 혼례식장, 체험장 등 수익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한 이익금인 셈이다.
한정식을 파는 한벽루의 경우, 4인 기준 한상에 11만원, 20만원, 28만원 등으로 구분된다. 28만원짜리 한상의 음식 가격은 20만원을 받아야 마땅하지만 유기그릇을 사용한다는 이유로 8만원이 추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전통혼례식장은 기본료 120만원에 추가로 메이크업 20만원, 앨범 40만원, 비디오 25만원, 야외촬영 60만원 등의 요금이 책정돼 음식비용을 제외하고도 300여 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는 효자동의 A예식장보다 더 비싼 요금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자연생태, 택견, 비빔밥 등이 운영되는 체험 프로그램의 소요 시간은 1-1시간30분 정도인데 불구하고 청소년 5000원-7000원, 일반 7000원-1만원대를 받고 있어 요금이 과다하게 책정돼 공익성이 결여됐다는 소리도 듣고 있다. 체험 프로그램이 전주시민 등 도내 위주로 이어지면서 시에서 지원하는 기관이 센터 밖의 일반인들이 운영하는 곳보다 체험료를 더 받는다면 문제가 아닌가. 게다가 요금도 현금으로만 결제되는 가운데 개강 후에는 환불이 불가능해 시민을 위한 배려는 없고 돈벌이에 몰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시가 각종 문화시설을 민간위탁하고 있는 것은 전문성 발휘로 전주의 이미지를 한 차원 더 제고하라는 의미가 배어 있다. 시비를 지원받고 있는데도 상업성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위탁계약서에도 언급이 돼 있지만 운영을 하면서 발생한 수익금은 시설 등 재투자에 써야 함이 마땅하고 당연하다. 전주전통문화센터, 공익성과 수익성이 조화된 해법을 찾아 운영하라. / 입력 : 2009-12-09 09:00:27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공간 운영 노하우 공개 (0) | 2010.04.14 |
---|---|
달마의 변신 (0) | 2010.04.14 |
무형문화재, 대(代) 끊길 우려 크다 (0) | 2010.04.14 |
문화재관리, 주먹구구식 행정 (0) | 2010.04.14 |
인사 이동 잦은 문화체육관광 공무원 (0) | 2010.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