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 앞에서 목소리로 ‘다 잡수소!’
'콩을 섞은 쌀밥과 무와 계란이 들어간 소고깃국, 꿩탕, 숯불고기, 닭구이, 콩나물무침….’
1884년 11월 10일 전라감영을 방문한 주한미국공사관 해군무관 조지 클레이턴 포크(1856~1893)는 관찰사 김성근(1839∼1919)으로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은 다음 날 오전 10시 풍패지관(豊沛之館·보물 제583호)에서 받은 아침 밥상을 이같이 소개했다.
전라감영은 조선시대 지금의 전북과 전남, 제주를 총괄하던 곳으로 전주에 자리했으며 포크는 조미수호통상조약으로 전라감영을 방문하기 6개월 전, 주한미국공사관에 임명됐다.
포크는 원반 위에 차려진 밥, 국, 반찬 등 17가지 음식의 종류와 위치를 그림으로 그리고 번호를 매겨 여행일기에 자세히 기록했다.
그는 이를 “가슴까지 차오르는 엄청난 밥상”이라고 극찬했다.
포크의 기록은 미 국무부 명에 따라 조선의 경제적 가치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전주의 음식문화와 조리법을 알 수 있게 기록한 최고(最古)·최초 문헌이자 타 지역 감영에서 발견되지 않은 감영의 접대·연희 상차림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지금까지 전주의 음식은 세종실록지리지 등 다양한 문헌과 ‘미암일기’(유희준), ‘호남일기’(이석표, 이상황), ‘완영일록’(서유구) 등 전라감사들이 기록한 일지에 등장하지만 이처럼 식자재와 조리법 등을 유추할 수 있게 자세히 기록한 것은 유일하다.
포크는 다양한 상차림과 연희문화에 대해서도 자세히 기술했다.
그는 주안상을 받은 자리에서 “기생이 내 앞에 무릎을 꿇고 가늘고 큰 목소리로 ‘다 잡수소!’라고 외치자 다른 남자들 3명이 복창했다.
작은 접시에 음식이 최고 1피트(약 30㎝)가량 높이 쌓였고, 접시마다 열 사람이 먹을 만큼 많았다”고 적었다.
또 “커다란 연희에는 사람들이 현란한 옷을 입고 있었고, 나도 제복이 아니라 아주 단정하지만 하찮은 캐시시어 정장을 입고 있었지만, 그들은 내가 그곳의 주인이라고 말해주었다”고 전했다.
그는 전라감영에서 받은 융성한 대접에 대해 “모든 소리와 유흥은 중국에서 본 어떤 것보다 웅장했다. 실로 환상적인 날이다. 감영은 작은 왕궁이다”고 감탄했다.
전주시는 포크의 일기를 토대로 전라감염 복원사업에 발맞춰 관찰사 밥상과 외국인 손님 접대상, 연회 등을 복원했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도3호선과 마도4호선에 숨겨진 이야기 (0) | 2023.09.05 |
---|---|
고창 바지락밥 (1) | 2023.08.30 |
승동표의 만찬 (0) | 2023.08.12 |
승동표의 사과와 감 (0) | 2023.07.27 |
서유구, “우리나라의 장이 마땅히 천하 제일이다”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