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스토리] "다시는 ‘전쟁일기’를 쓰고 싶지 않습니다”
-전북 장수에서 임진왜란 맞은 오희문 '쇄미록'을 쓰다
어릴 적 시골에서 큰 밥그릇에 가득 고봉으로 밥을 쌓아서 먹던 어른들의 밥그릇이 기억납니다.
조선시대 3대 사서인 오희문(1539∼1613)의 '쇄미록(瑣尾錄)'에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양을 점령한 왜군들의 군량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첩자가 알아내 온 바, 당시 조선군의 식사량으로 계산해보니 약 한달 분량이었습니다. 한 달 뒤면 왜군들의 식량이 떨어져 물러 갈 것이라 생각하고, 성 앞에 진을 치고 기다렸는데 어찌 된 일인지 한달이 지나도 왜군들이 후퇴하지 않았습니다. 나중에 보니 왜군들의 밥그릇은 조선군의 1/3 크기였고, 그래서 식량 아끼려고 밥그릇이 아닌 김치 종지에 먹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왜군이 식사량을 줄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조선 백성의 밥 한 그릇은 약 690g으로 지금보다 4~5배가 큰 엄청난 대식가였으며 1940년대까지도 비슷한 크기였습니다. 고려시대는 1040g, 고구려 시대는 1300g의 밥그릇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학자인 오희문은 임진왜란 시기에 쓴 일기인 '쇄미록'에 이같은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는 장을 담그기도 했는데 오늘날 메주에 해당하는 말장과 소금의 비율을 상세히 적어놓기도 합니다.
'여종 강비의 남편 한복이 그물을 가지고 연못에 가서 고기를 잡아 붕어 17마리를 얻었기에 저녁밥 지을 쌀을 주고 바꿨다. 다음 날에 다시 잡으면 식혜를 담갔다가 한식 제사에 쓰련다'
임진왜란을 기록한 3대 저서로 난중일기, 징비록과 함께 오희문의 쇄미록을 꼽습니다. 쇄미록(瑣尾錄)은 '보잘것없이 떠도는 자의 기록'이란 뜻입니다.
‘쇄미’의 뜻은 시전(詩傳) 북풍(北風) 모구장(旄丘章)에 있는 '쇄혜미혜 유리지자(瑣兮尾兮 流離之子)'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피난에 대한 기록이란 의미입니다. 일기의 끝에 “이제 종이도 다하고, 또 서울에 다시 돌아와 유리(流離)할 때도 아니므로 붓을 그친다.”고 서술하여, 이 글의 목적이 피난 중의 일을 기록하는 데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임진왜란 당시 토목 일을 맡은 관리였던 바, 지방에 사는 외거노비들에게 공물을 받을 목적으로 1591년 11월 27일 한양을 떠났다가 전라도 장수에서 임진왜란을 맞은 후 1601년 한양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9년 3개월 동안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 지역을 옮겨 다니며 일기를 썼씁니다.
“지난번에 어떤 의병이 밤에 무주 적진으로 들어가 진영 밖 망대에서 숙직하던 왜놈을 활로 쏘고 수급을 베어 와 바쳤다고 했는데, 지금 다시 들으니 베어 온 것은 왜놈의 머리가 아니라 목화를 따다가 적에게 살해되어 버려진 무주 백성의 머리였다. 머리털만 제거한 뒤 베어 온 것이다. 의병장이 그런 줄도 모르고 왜놈의 머리라고 여겨 순찰사에게 수급을 바쳤다고 한다. 참으로 우습다”(임진남행일록, 1592년 9월 13일)
오희문은 각종 풍문과 문서를 글로 남기는 침략하고 노모와 처자의 생사를 모르는 상황에서도 각종 문서를 꼼꼼하게 들여다보고 소문의 전달자, 문서 작성일시와 작성자를 빼놓지 않고 기록했습니다.
'쇄미록'에는 가자미 등 어류 44종, 오징어 등 연체류 4종, 게·전복 등 갑각류와 패류 6종 등 다양한 해산물이 등장합니다.
“명복이 함열에서 왔다. 함열 현감이 정미 3말, 생준치 2마리, 꿀 5홉, 녹두 1되를 보냈는데, 다시 되어 보니 쌀 5되가 줄었다. 준치와 꿀은 길 가던 사람에게 빼앗겼다고 한다. 어두워져서 돌아온 걸 보니 분명 고기를 찌고 밥을 지어 먹은 게다. 병을 앓는 집에서 꿀을 구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니, 분명 도중에 팔아서 쓰고는 빼앗겼다고 핑계를 대는 것일 게다. 몹시 괘씸하고 얄밉다. 충아 어미와 인아가 아파서 이것들을 가져오면 죽을 쑤어 먹이려고 했는데, 잃어버렸다고 핑계를 대니 더 화가 난다.(갑오일록, 1594년 5월 8일)
16세기 조선 중기의 수산물 조리법을 짐작할 수 있는 음식명도 많이 나오는데, 사용된 조리법은 죽, 탕, 찜, 삶기, 구이, 회, 포, 젓갈, 식해, 건조, 절임 등입니다.
“이른 아침에 물고기를 두어 말을 얻었는데 모두 크기가 전일에 잡았던 것이 아니다. 그중에 빙어는 크기가 청어만 한 것이니 20마리나 된다. 회를 쳐서 먹으려 했으나 겨자가 없고 또 술이 없어서 먹지 못했으니 한스럽다. 모두 쪼개서 말리게 하고 그 나머지 큰 것을 구워 먹었다”(1597년 10월 6일) 같은 대목은 당시 생활상을 엿보게 해줍니다.
‘임자중(任子中)이 집노루 고기를 가지고 와서 마을 사람들이 함께 요월당에 앉아 배불리 먹었다. 마침 술이 없더니 추로(秋露) 한 병을 얻어서 경흠의 서모(庶母)의 집에서 각각 석잔 씩을 마시고 헤어졌다.’(且任子中 備家獐而來 與洞人輩相與坐於邀月堂飽食 而適無酒 覓得秋露一壺 於景欽庶母家 各飮三杯而罷)'는 기록처럼, 생활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장치로서 술을 자주 접했던 기록도 많이 나타납니다.
‘또 오늘은 어머님께서 학질을 앓으실 날이어서 일찍 학질 떼는 방법 세 가지를 했다. 하나는 복숭아씨를 축문(呪文)을 외우면서 먹는 것이고, 하나는 헌 신 밑장을 불에 태워서 물에 섞어 먹는 것이요, 하나는 제비 똥을 가루로 만들어 술에 담가가지고 코 밑에 대어 냄새를 맡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옛날 쓰던 방법으로서 효력이 가장 있다고 해서 하는 것이요, 또한 하기도 어렵지 않은 것이다'
1594년 2월 10일자엔 '먹을거리가 부족해 사내종들에게는 아침에는 7홉을 주고 저녁에는 죽을 쑤어 나누어 먹였다'고 나옵니다.
'쇄미록'에는 “조선의 일반적인 성인 남자는 1끼에 7홉이 넘는 양의 쌀을 먹는다”고 적혀 있습니다. 당시 7홉은 420g 정도로 현재 공깃밥의 2배입니다. 당시 7홉을 지금의 계량 단위로 환산하면 1,260㎖나 된다. 290㎖ 밥그릇으로 5그릇입니다. 보통사람은 요즘 사람의 3배, 양이 큰 사람은 5배의 밥을 먹었다고 봐야 합니다.
전쟁통인데도 쌀 일곱 홉으로 밥 한 그릇을 지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
수북하게 담은 감투밥·머슴밥·고봉밥은 날마다 꾸는 꿈이었습니다.
먹을거리가 눈앞에 보이면 아무리 폭식을 했다고 해도, 결국 쌀밥을 많이 먹는 데 목숨을 걸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래서 대식의 쌀밥을 위해서 나라에서도 곡물 생산에만 집중했습니다.
'쇄미록'에는 “듣자니 시장에서 큰 전어 한 마리의 값이 쌀 석 되 값”에 이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예로부터 맛이 으뜸이니 본전 생각 따위는 접어두고 폭풍 흡입한다는 의미입니다.
'쇄미록'에는 정사(正史)에서는 볼 수 없는 생생한 이면의 역사가 펼쳐진다. 때로는 우리가 가지고 있던 시대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기도 하고, 막연히 알고 있던 개념적 사실에 구체성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오희문은 전쟁으로 어렵고 힘든 날을 보내야 했지만 남편으로, 아버지로, 아들로, 주인으로, 가장으로서 여러 역할을 해내며 16세기를 살았고 그 하루하루를 일기에 담아 오늘에 전했습니다. 420여 년이 지난 지금, 잠시나마 코로나19의 힘든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희망을 꿈꿔보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다시는 ‘전쟁일기’를 쓰고 싶지 않습니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문학 이야기] 만경강의 모래찜질과 춘포역 (0) | 2022.06.16 |
---|---|
'향기나는 풀' 전주부 봉동 생강과 올공쇠 이야기 (0) | 2022.06.01 |
전라도관찰사 유희춘의 '헌근가' (0) | 2022.05.31 |
이종근, 전주 복숭아의 기원을 찾다 (0) | 2022.05.31 |
승동표의 복숭아 (0) | 202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