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파총, 김제를 지나다가 잉어회에 겨자장을 곁들인 밥상을 받다
‘김제평야의 한 되의 쌀을 정미하니 옥보다 윤기나고, 닭국엔 들깨와 쌀가루 들어가 매끄럽고 잉어회엔 겨자장으로 향기롭고 부추는 맛이 조금 맵고 미역국은 더욱 푸르스름하네. 순무는 네 계절에 먹는 것으로 채소 중에 최고이니 은색 실의 가는 것처럼 잘라 쟁반에 올리니 찬란함을 헤아릴 수 있네. 아빠는 손에 익숙하듯 잠깐 사이에 수퇘지 잡아 흰 눈 같은 목살 저미니 달고 연하여 실제로 견줄 만한 게 적다네’
김려(1766~1822)의 ‘고시위장원경처심씨작(古詩爲張遠卿妻沈氏作)’은 장편서사시로서 한국한시사상 보기 드문 작품으로서 소중한 자료이다. 주인공 방주는 장수 장계(長谿) 땅의 백정집에서 태어난 여성이다. 무관 장파총(把摠, 종4품 벼슬이름)이 마을 백정집에 저녁을 청한다.
원제에서 ‘장원경(張遠卿)의 처 심씨를 위해 짓는다(爲張遠卿妻沈氏作)’고 했다. 심씨란 방주를 가리키며, 장원경은 필시 장파총의 아들이다.
이 글에 의하면 조선 사람들은 이렇게 얻은 수산물에 어떤 상상력을 더했을까.
장파총은 김제를 지나다 잉어회에 겨자장을 곁들인 밥상을 받았다. 겨자장은 회의 짝으로 가장 널리 쓰였다.
‘(이어) 잠시만에 오묘한 반찬 준비하고 소담하고 청초하며 깔끔하지. 창 머리의 흑기장 술의 향기로운 술맛이 고양이 눈 찢을 듯하네. 고당에 대자리 깔니 때자리는 시원해 얼음장 같네. 손님에게 가운데 앉길 권하고 부채 흔들며 더위 몰아내네. 더운 바람에 모기 씻기고 뜰 나무엔 붉은 햇빛 스러지네. 주인이 친히 밥을 받자옵고 앞으로 나가 공경히 무릎 꿇고 괴로이 말하네. “잠깐 사이라 거친 밥이 매우 보잘 것 없습니다. 저는 아내도 이미 없고 천한 여식이 마침 음식을 주관하는데 음식 기술이 비록 거칠 게 이해하더라도 조화로움이 어찌 적당한 맛이겠나요? 근래에 나라에선 엄금(농사용 소를 위해 소 도살을 금함)하고 쇠고기 하물며 다시 귀함에 오죽하겠습니까?” 파총은 수저를 내려놓지 못하고 내심 감격했네. 화려한 빛깔이 갑자기 눈에 뜨이고 진귀한 향기가 이미 코에 닿았네. 아낙네의 여러 행실의 요체는 먼저 술과 밥 솜씨를 따르는데 반찬의 품질이 이미 이와 같으니 심한 일 물을 게 없네’
가장과 삼형제가 도축만이 아이 지나다가 방주를 보고 일부러 방주의 집을 방문, 그녀의 아버지에게 자기 아들과의 혼인을 청한다. 작중 현재에 진행된 사건은 여기서 일단 정지되며 시는 장파총의 과거로 소급해 들어간다. 그리하여 장파총의 파란의 인생역정을 장황하게 서술해가는데 그러다가 중간에서 끊어진 것이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동표의 복숭아 (0) | 2022.05.30 |
---|---|
전북 향토음식을 살려야 (0) | 2022.05.25 |
'혼불'에 나오는 화전놀이 (0) | 2022.05.18 |
서백 송민호의 감(대봉시) 부채 문인화 (0) | 2022.05.05 |
진묵대사의 음식 이야기 찾아 활용해야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