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수한 고난과 고통을 마주하게 된다. 혼자만의 힘으로 그 고통과 고난을 극복하기 어려울 때 부처님 말씀을 따르는 불제자로서 부처님께 의지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부처님의 대비 원력으로 고난과 고통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얻게 된다. 그럴 때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님을 가장 많이 찾게 되는데 관세음보살님은 중생과 가장 가까이에 계시는 불보살이기 때문이다. 대자비심을 베푸시는 관세음보살님은 구원을 요청하는 중생의 근기에 맞게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를 보문시현(普門示現)이라고 한다. 중생은 저마다의 근기가 다르기 때문에 제도하는 방편도 달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몸을 각각 다르게 바꿔 나타내는 관세음보살님의 응화신으로 33관음(觀音)이 있다.
나열해 보면 1)양류관음(楊柳觀音), 2)용두관음(龍頭觀音), 3)지경관음(持經觀音), 4)원광관음(圓光觀音), 5)유희관음(遊戱觀音), 6)백의관음(白衣觀音), 7)연와관음(蓮臥觀音), 8)롱견관음(瀧見觀音), 9)시약관음(施藥觀音), 10)어람관음(魚籃觀音), 11)덕왕관음(德王觀音), 12)수월관음(水月觀音), 13)일엽관음(一葉觀音), 14)청경관음(靑頸觀音), 15)위덕관음(威德觀音), 16)연명관음(延命觀音), 17)중보관음(衆寶觀音), 18)암호관음(巖戶觀音), 19)능정관음(能靜觀音), 20)아뇩관음(阿耨觀音), 21)아마제관음(阿摩提觀音), 22)엽의관음(葉衣觀音), 23)유리관음(琉璃觀音), 24)다라관음(多羅觀音), 25)합리관음(蛤蜊觀音), 26)육시관음(六時觀音), 27)보비관음(普悲觀音), 28)마랑부관음32) 지련관음(持蓮觀音)(馬郞婦觀音), 29)합장관음(合掌觀音), 30)일여관음(一如觀音), 31)불이관음(不二觀音), 32)지련관음(持蓮觀音), 33)쇄수관음(灑水觀音) 등이다.
관세음보살님은 “고통에 허덕이는 중생이 일심으로 그 이름을 부르기만 하면 즉시 그 음성을 관하고 해탈시켜 준다.”고 한다. 따라서 관세음보살님이야말로 항상 중생과 함께하며 중생의 아픔을 보듬어주고 고난에서 구제해 주는 현실적이고 현세이익적인 보살이라고 할 수 있다. 33관음은 중생들이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그 상황에 따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관세음보살님의 33가지 대표적 모습을 말한다.
관세음보살님은 두 손과 두 눈만으로는 모든 중생을 안락하게 할 수 없으니 그 일을 감당할 수 있도록 천수천안(千手千眼)이 되게 해 달라는 서원을 세워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을 갖춘 천수천안관자재보살이 되었다. 관세음보살님의 공덕을 찬탄하고 그에게 귀의하여 예배하고 참회하며 발원하는 구절과 진언으로 구성되어 있는 천수경(千手經)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이다. 수많은 눈과 손을 가지신 관세음보살님의 광대하고 원만하며 한량없는 대비신력과 위신력을 지닌 대다라니, 천수다라니는 천수경의 핵심내용으로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라고 하며 불자들이 가장 많이 독송하는 다라니이다. ‘신묘장구(神妙章句)’는 한자의 뜻 그대로 ‘신통하고 묘한 글’이며 ‘대다라니’는 ‘구절이 긴 다라니’라는 뜻이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번역하지 않고 산스크리트어 원문대로 주문처럼 독송하는데, 그 이유는 다라니의 내용이 너무 깊고 신묘한 것이어서 본래 가지고 있는 깊은 의미가 잘못 전달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천수다라니는 관세음보살님이 ①중생들을 안락하게 하기 위해, ②모든 병을 낫게 하기 위해, ③긴 수명을 얻게 하기 위해, ④풍요로움을 얻게 하기 위해, ⑤모든 악업과 중죄를 없애기 위해, ⑥장애와 고난을 떠나게 하기 위해, ⑦청정한 법과 공덕을 늘어나게 하기 위해, ⑧모든 선근을 성취시키기 위해, ⑨온갖 두려움을 멀리 여의게 하기 위해, ⑩바라는 바 모든 것을 속히 얻어 만족하게 하기 위해 설하신 것이다. 천수다라니를 외워 지니는 이는 15가지 좋은 태어남을 얻고 15가지 나쁜 죽음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15가지 좋은 태어남이란, ①태어나는 곳마다 늘 좋은 정치지도자를 만나며, ②늘 좋은 나라에 태어나며, ③늘 좋은 때를 만나며, ④늘 좋은 벗을 만나며, ⑤몸에 결함이 없으며, ⑥진리를 향하는 마음이 돈독하며, ⑦계를 범하지 않으며, ⑧가정이 늘 화목하며, ⑨음식과 재물이 풍요로우며, ⑩늘 다른 사람의 공경과 도움을 받으며, ⑪ 재보를 도둑맞지 않으며, ⑫바른 뜻으로 구하는 것이 모두 이루어지며, ⑬천룡팔부신장과 선신들이 옹호하며, ⑭태어나는 곳마다 부처님 법을 들으며, ⑮바른 법을 듣고 그 깊은 뜻을 깨치게 되는 것이다.
또, 15가지 나쁜 죽음을 받지 않음이란, ①배고픈 고통으로 죽지 않게 하며, ②옥에 갇혀 매 맞아 죽지 않게 하며, ③원수와 상대해서 죽지 않게 하며, ④전쟁터에서 서로 싸워 죽지 않게 하며, ⑤사나운 짐승에게 물려 죽지 않게 하며, ⑥독사 전갈에게 물려 죽지 않게 하며, ⑦불에 타 죽거나 물에 빠져 죽지 않게 하며, ⑧독약을 먹고 죽지 않게 하며, ⑨독충의 독으로 죽지 않게 하며, ⑩미쳐 죽지 않게 하며, ⑪산이나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죽지 않게 하며, ⑫나쁜 사람의 저주로 죽지 않게 하며, ⑬악귀에게 홀려 죽지 않게 하며, ⑭악병으로 죽지 않게 하며, ⑮자살로 죽지 않게 하는 것이다.
천수다라니는 이처럼 관세음보살님의 위신력과 공덕과 대자비심을 지니고 있으므로 일심으로 독송하면 모든 고난과 역경을 헤져나갈 수 있는 지혜가 생긴다. 따라서 천수경의 내용에 따라 관세음보살님을 완전히 믿고 의지하며 탐욕과 노여움과 어리석음의 삼독심을 버리고 보리심과 자비심을 길러 실천하면서 천수다라니 기도를 하면 자신의 고통과 고난을 없애는 것은 물론이며 불교 수행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지혜의 증장과 관세음보살님의 가피를 한량없이 받을 수 있다.
봉은사에서는 〈33관세음보살 대원성취 천수다라니 정진기도〉를 6월 7일(목)에 입재하여 2021년 1월 7일까지 33개월 동안 33회에 걸쳐서 매월 관음재일(음 24일)에 봉행한다. 매월 해당 관세음보살님께 예경하고 천수다라니 108독을 하며 발원문을 독송하는 천수다라니 정진기도는 모든 중생이 갖가지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33관세음보살님의 대비 원력에 힘입어 가정의 행복과 소원성취를 이루게 된다.
관세음보살님은 “나의 자비, 방편의 힘으로 필요한 바를 모두 성취케 되며, 삼악도 중생들이 이 다라니를 들으면 모두 고통을 여의게 되며, 초발심의 자리로부터 부처님의 자리에까지 속히 이르도록 하며, 32상 80종호를 속히 이루게 되리라.”고 하시며 다라니 수지 독송의 공덕은 참으로 무량하다고 하셨다. 그러므로 착한 마음으로 지극한 정성을 기울여 의심하는 바 없이 탐ㆍ 진ㆍ 치 삼독심을 모두 내려놓고 관세음보살님의 대자비심을 배워 일체중생을 제도하겠다는 큰 서원을 세우고, 나와 남을 함께 이롭게 하겠다는 자리이타(自利利他)의 평등심을 갖추고, 마음을 하나로 모아 일심으로 기도하는 불제자가 되어야 한다. 부처님 전에 열심히 수행 정진해 나갈 것을 다짐하며 〈33관세음보살 대원성취 천수다라니 정진기도〉에 인연 있는 불자님들의 많은 동참 있기를 발원해 본다.(봉은 판전 5월호 게재)
※ 33관음(觀音)
1) 양류관음(楊柳觀音)...봄바람 부는 버드나무 아래 바위에 앉아 있거나, 또는 오른손에 버들가지를 들고 왼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보이게 하고 가슴 위에 대어 대자비의 자세를 하고 있는데, 애욕을 없애준다.
2) 용두관음(龍頭觀音)...구름 속에 있는 용을 탄 형상 또는 용의 정상에 서 있는 모습으로 33신 중 천룡, 야차신에 해당하며 천룡, 야차를 제도한다.
3) 지경관음(持經觀音)...오른손에 경을 들고 바위 위에 앉아 있는데, 33신 중 성문신에 해당한다.
4) 원광관음(圓光觀音)...향배(向背)에 둥근 광명을 놓고 있다. 빛이나 불을 나타내어 중생을 제도한다.
5) 유희관음(遊戱觀音)...관음의 유희자재, 어떤 경우에나 몸을 자유롭게 나투는 것을 보여준다. 구름을 타고 법계를 자유자재로 유희한다. 아무리 나쁜 일이 있어도 몸이 다치지 않도록 도와준다.
6) 백의관음(白衣觀音)...항상 횐 옷을 입고 있으며 어린아이의 순조로운 출산과 그 어린아이의 생명을 구하고 보살피며 언제나 청정을 의미하는 흰 연꽃 위에 앉아 있다. 33신 중 비구니 신에 해당한다.
7) 연와관음(蓮臥觀音)...응신의 바른 몸으로 제도해 주시며 연못 속의 연꽃 위에 합장하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33신 중 소왕신에 해당한다.
8) 롱견관음(瀧見觀音)...불의 재앙으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신다. 폭포를 보면서 바위에 기대어 앉아 있는 모습이다.
9) 시약관음(施藥觀音)...몸과 마음의 병을 낫게 해 주는 보살로, 바위 위에 앉아서 오른손을 뺨에 대고 물을 바라보는 모습이다.
10) 어람관음(魚籃觀音)...바다에서 악귀나 나찰을 만났을 때 우리를 보호해 준다. 물고기를 담은 바구니를 들고 있거나 혹은 큰 물고기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11) 덕왕관음(德王觀音)...33신 중 범왕신에 해당하는데, 가부좌를 하고 왼손을 무릎 위에 놓고 오른손에는 버들가지를 들고 바위 위에 앉아 있다.
12) 수월관음(水月觀音)...선재동자에게 보리의 가르침을 주는 보살로, 벽지불의 몸으로 나타나 우리를 구원해 주신다. 물 위에 떠 있는 달을 보고 있는 모습이다.
13) 일엽관음(一葉觀音)...33신 중에 재관신에 해당하는데, 물에 뜬 한 잎 연화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14) 청경관음(靑頸觀音)...쉬바 신의 대자대비한 모습을 관음의 화신으로 삼아 천수경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관음을 염하면 두려움과 재난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33관음의 경우 청두관음(靑頭觀音)이라 적혀 있으며 33신 중 불신(佛身)을 나타낸다. 바위에 기대어 앉아 있고 옆에 있는 병에는 버들가지가 꽂혀 있다.
15) 위덕관음(威德觀音)...악한 무리를 절복시키려는 위엄과 약한 자를 애호하는 덕을 갖추고 있다. 33신 중 천대장군신을 나타내며 왼손에 금강저를, 오른손에는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16) 연명관음(延命觀音)...남이 나를 저주와 주문으로 해치려 할 때 위기를 모면하게 해 주는 보살로, 물 가운데 있는 바위 위에 팔꿈치를 붙이고 있는 모습이다.
17) 중보관음(衆寶觀音)...약간 왼쪽을 향하여 평좌한 장자신(長者身)에 해당된다.
18) 암호관음(巖戶觀音)...나쁜 벌레들로부터 내 몸을 보호해 준다. 바위굴 속의 바위에 앉아 수행하는 모습이다.
19) 능정관음(能靜觀音)...해로(海路)의 수호신으로, 우리가 탄 배가 표류하였을 때 구해 주신다. 해변의 바위에 앉아 손을 바위에 기대고 바다를 향하여 정적(靜寂)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 아뇩관음(阿뇩觀音)...잡귀신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주는 보살로, 바위에 앉아 바다를 내려다보는 모습이다.
21) 아마제관음(阿摩提觀音)...지옥에 들어간 중생들을 구원한다. 바위 위에 앉아 양손을 포개어 왼쪽 무릎 위에 올려놓은 모습이거나 사자를 탄 모습이다.
22) 엽의관음(葉衣觀音)...나뭇잎으로 된 옷을 입고 나투셔서 화재 예방, 무병장수를 기리는 주존으로 신앙되며, 33신 중 제석신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위 위에 풀을 깔고 앉아 있다.
23) 유리관음(琉璃觀音)...한 송이 연꽃을 타고 물 위에 떠서 두 손으로 향로를 받들고 있으며, 33신 중 자재천신에 해당한다. 설법의 향기가 온 누리에 펼쳐진다.
24) 다라관음(多羅觀音)...여인의 모습을 한 다라존은 자비로운 눈을 지니고 중생을 구한다. 우리를 해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서 보호해 주신다. 구름 위에 서서 푸른 연꽃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
25) 합리관음(蛤蜊觀音)...조개껍질 가운데에 서 있는 모습이다.
26) 육시관음(六時觀音)...6시란 하루를 의미하는데, 주야로 항상 중생을 수호하는 관음이다. 33신 중 거사 신의 모습으로 패엽(貝葉)의 경본(經本)을 가지고 서 있다.
27) 보비관음(普悲觀音)...자비를 세계에 널리 펼치는 관세음보살이다. 33신 중 대자재천신으로 나투며 양 손을 법의에 감추고 산 위에 서 있는데, 옷이 바람에 휘날리는 모습을 하고 있다.
28) 마랑부관음(馬郞婦觀音)...부녀 신의 몸으로 나타나 우리를 보호해 주신다. 관음보살이 화현하여 마랑의 부인이 되었으므로 마랑부라 한다.
29) 합장관음(合掌觀音)...합장한 채 연꽃 위에 서 있는데, 33신 중 바라문신을 나타낸다.
30) 일여관음(一如觀音)...구름을 타고 번개를 정복하고 있는 모습이다.
31) 불이관음(不二觀音)...33신 중 집금강신을 나타내며, 물 위의 연잎에 서 있다.
부처님의 수호신인 집금강신도 부처님이 화현한 모습이며, 양자는 둘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불이관음이라 부른다.
32) 지련관음(持蓮觀音)...33신 중 동남동녀 신으로 연꽃 위에 서 있으며, 관음의 상징인 연꽃의 줄기를 양손으로 들고 있다.
33) 쇄수관음(灑水觀音)...「보문품」의 “감로의 법비를 뿌려 번뇌의 불길을 끈다.”는 데서 유래한다. 오른손에 지팡이, 왼손에 쇄수기(灑水器)를 들고 있다.
[글과 사진 출처] 33관세음보살과 천수다라니기도|작성자 이슬( 블로그 수련화~佛心으로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