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김일구 명창, 홍금산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적벽가>
국립민속국악원에서는 옛 전통 판놀음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 무대로 옮겨온 국립민속국악원의 대표 브랜드 공연인 “신(新)판놀음 열두마당”을 매월 마지막주 토요일에 진행되는 상설공연으로 마련하여 매회 새로운 테마의 창극과 더불어 명창, 명인 또는 명무를 초청하여 한층 더 수준 있는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신(新)판놀음”은 국립민속국악원의 창극과 판소리 전문기관의 특성을 살려 판소리 다섯바탕을 중심으로 제작한 새로운 공연양식으로, 열린창극과 더불어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완성도를 높인 국립민속국악원의 대표적인 공연브랜드이다.
2010년의 신판놀음은 연간 12회의 월말 상설로 기획되어 지난 1월 30일 그 첫 번째 마당 <박양덕 명창․김무길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 수궁가>를 시작으로, 2월 27일 <송순섭 명창․이애주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적벽가>, 3월 27일 <유영애 명창․원장현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춘향가(사랑가 대목)>, 4월 24일 <성우향 명창․임이조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춘향가(십장가 대목)>, 5월 29일 <박송희 명창․박종선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흥보가>로 진행되었다. 국립민속국악원의 사정으로 취소된 6월 26일 공연을 제외하고 2010년 상반기 동안 5명의 명창과 3명의 명인, 2명의 명무가 참여와 함께 국립민속국악원의 60여명의 국악연주단이 제작, 출연한 다섯바탕의 창극으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보였다. 총 2,700여명에 욱박하는 관객이 신판놀음을 관람하였으며 마당에서 관람하듯 같이 호흡하고 즐기는 공연으로 신판놀음의 매니아 층을 형성하는 등의 성과를 보였다. 특히 매회마다 이 시대 최고의 명인․명창․명무를 초청하여 더욱 우수한 공연을 선보일 수 있었으며, 이는 국립민속국악원의 이미지 제고에 큰 몫을 하고 있다.
하반기에도 <신(新)판놀음 열두마당>은 계속된다. 일곱 번째 마당으로 김일구 명창, 홍금산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판놀음 적벽가> 오는 7월 31일(토) 오후3시에 개최된다.
김일구(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후보) 명창의 판소리 적벽가 “조조 활쏘는 대목”과 홍금산(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이수자,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역임)명무의 “살풀이 춤”을 선보이며, 적벽대전을 무대로 옮겨온 듯한 웅장함이 돋보이는 "창극 적벽가"로 한여름 무더위를 속시원하게 날려버릴 신판놀음이 될 것이다.
7월부터 12월까지의 하반기동안 <2010 명인․명창,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열두마당>의 멋들어진 판소리를 선보여줄 명창으로는 김일구, 조소녀, 남해성, 신영희, 최승희, 김영자 명창의 출연이 예정되어 있으며 홍금산, 이현자, 채상묵 명무의 춤과, 이생강, 강정숙, 최경만 명인의 심금을 울릴 연주로 진행될 것이다.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숨가쁘게 달려가는 상설창극 <신(新)판놀음 열두마당>은 매달 마지막주 토요일 오후 3시에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만날 수 있다.
□ 7월 상설창극 출연자 소개
ㅇ 김일구 명창 <판소리 적벽가 中>
- 현) 중요무형문화재 제 5호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후보
- 공대일, 장월중선, 원옥화, 박봉술 사사
- 국립국악원 판소리 한마당 ‘김일구의 적벽가’외 적벽가 및 심청사 완창 20여회
- 1980 우리가락마당 발표회 이후 기악종합발표회 10여회
- 대한민속국악제 연출 및 출연 외 다수의 대본, 연출, 출연
- 2000 국립국악관현악단 아쟁산조 협연 등 다수의 축하공연 및 협연
- 2003 영국 에딘버러 국제페스티벌 적벽가 완창 등 해외공연 20여회
ㅇ 홍금산 명무 <살풀이 춤>
- 국립무용단 주역, 부 지도위원 역임
- 한국문화재 보호재단「한국의 집」무용단 단장 겸 안무자
- 국립국악원무용단 안무자 역임
- 국립국악원무용단 예술감독 역임
- 중요무형문화재 제 97호「살풀이춤」이수자
- 현) 단송 홍금산 무용단 단장겸 예술감독
ㅇ 고수 / 김청만
- 전국대명고수부 대회장원(국무총리상)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예술감독 역임
- (사) 동초제 판소리 보존회 이사
- (사) 새울 전통타악 진흥회 이사장
- 2006년 대한명의 추대
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보유자 후보
ㅇ 창극 <적벽가>
-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 공연내용
1. 판굿 & 춤판
판굿은 굿패나 걸립굿, 두레굿가 같이 잽이들이 마을 사람들을 큰 마당에 불러모아놓고 잡색과 함께 걸판지게 농악을 치며노는 굿을 말한다. 특히 호남좌도농악에서는 판굿을 앞굿과 뒷굿으로 나누는데 앞굿에서는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진(陣)을 짜서 놀고, 뒷굿은 잡색이나 구경꾼들이 참여하는 판에 이어 춤꾼들의 소고춤, 장구춤, 북춤등의 신명나는 춤판으로 신판놀음의 문을 연다.
2. 살풀이 춤
‘살풀이 춤’은 技의 극치로 藝에 이르고 藝가 완성됨으로서 마침내 마음을 보이는 춤이다. 靜․中․動의 신비스러움과 자유스러움, 그리고 환상적인 춤사위는 예술적 차원을 뛰어넘어 종교적 경지에 이른다. ‘살풀이 춤’은 원래 지역에 따라 흉살을 미리 피하도록 또는 亡者의 넋을 달래 천도시키는 살풀이 굿 과정에서 살풀이 음악에 맞춰추는 무무(巫舞)였으나 시대 변천에 따라 춤사위는 발전되어왔다. 민속춤의 대표적인 춤으로 추는 이에 따라 기법이 달라질 수 있는 즉흥무 형식의 춤으로 써 오늘날 민속음악인 시나위 음악에 맞춰 추는 한국춤의 대표적인 무대예술 무용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3. 판소리 적벽가
적벽가’는‘화용도’라고도 한다.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 중에서 적벽강 싸움의 전후 부분을 차용하고 여기에 몇 가지 이야기를 첨삭하여 판소리로 짠 것으로 사건전개 과정과 사설이 다른 판소리에 비해 낯설긴 하지만 위풍당당한 주인공들의 묘사와 긴박감 넘치는 적벽강 장면 등은 조선후기 식자층 판소리 애호가들에게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적벽가’에서 이름난 소리대목은 삼고초려, 고당상, 서름타령, 군사조련, 남병산 제단, 자룡이 활쏘는 데, 적벽강 싸움, 새타령, 장승타령이 있다.
4. 창극 “적벽가” 동남풍 비는 대목 ~ 새타령
조조와 주유를 싸우게 하기위해 공명은 양쪽 나라에 서로 이간질 시킨다. 그리고 주유가 조조를 이길 수 있도록 오나라에 들어가 조조를 물리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동남풍을 만들어내기 위해 하늘에 제를 지낸다. 격전지는 적벽강이여서 해전이나 멀미에 약한 조조는 비책으로 배들을 쇠고리로 연결해 육로처럼 이어놓아 사우기 좋게 해 놓아 마음을 놓고 있던 터이다. 그 후 황개는 거짓 투항으로 조조를 안심시키고 조조진영으로 들어가 불화살로 선제공격을 한다. 때마침 불어오는 동남풍에 바람은 조조 진영 쪽으로 불어 조조의 군사들은 꼼짝없이 몰살 당하고 만다. 이에 후퇴하며 탄식하며 부르는 소리가 적벽가 새타령이다.
일 시 |
제 목 |
내 용 |
07.31(토) 15:00 |
* 김일구 명창 ․ 홍금산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적벽가” |
- 판굿 & 춤판 - 홍금산 명무 “살풀이 춤” - 김일구의 판소리 “적벽가” - 창극 “적벽가” |
08.28(토) 15:00 |
* 조소녀 명창 ․ 이현자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춘향가” |
- 판굿 & 춤판 - 이현자의 “태평무” - 조소녀의 판소리 “춘향가” - 창극 “춘향가” |
09.25(토) 15:00 |
* 남해성 명창 ․ 이생강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흥보가” |
- 판굿 & 춤판 - 이생강의 “대금 산조” - 남해성의 판소리 “흥보가” - 창극 “흥보가” |
10.30(토) 15:00 |
* 신영희 명창 ․ 강정숙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흥보가” |
- 판굿 & 춤판 - 강정숙의 “가야금 산조” - 신영희의 판소리 “흥보가” - 창극 “흥보가” |
11.27(토) 15:00 |
* 최승희 명창 ․ 최경만 명인,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심청가” |
- 판굿 & 춤판 - 최경만의 “호적풍류” - 최승희의 판소리 “심청가” - 창극 “심청가” |
12.25(토) 15:00 |
* 김영자 명창 ․ 채상묵 명무, 창극을 만나다 신(新)판놀음 “수궁가” |
- 판굿 & 춤판 - 채상묵의 “승무” - 김영자의 판소리 “수궁가” - 창극 “수궁가”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민속국악원 장악과 담당 정수임 (☎ 063-620-232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생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자휴먼시아, 주민과 함께하는 여름 음악회 (0) | 2010.07.26 |
---|---|
우석대 초등학생 대상 외국어 캠프 (0) | 2010.07.26 |
내장산문화광장 23일 ‘개방’ (0) | 2010.07.26 |
제2회 매창휘호대회 성료 (0) | 2010.07.25 |
완주군 폐교활용 눈길 (0) | 201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