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숫자&문화

강원도, 16개 광역시도 중 상표권 최다 보유

강원도, 16개 광역시도 중 상표권 최다 보유

- 100개 이상 상표권 보유한 기초단체도 11곳 -


  16개 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 등록상표 포함) 중 가장 많은 상표를 보유하고 있는 곳은 ‘강원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이수원)은 상표제도 도입이후 2010년도 6월말 현재 지자체가 보유중인 상표권은 8,306건이고 이중 강원도가 1,186건으로 14.3%를 차지하여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강원도 지역은 수도권 주민에게 신선식품을 공급할 수 있는 농수산물 생산기반과 해수욕장 등 좋은 관광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지리적 장점과 아울러 상표의 중요성에 대한 지자체 공무원의 높은 인식에 따라 상표등록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에 이어 경기도(1,134건,13.6%)와 전라남도(1,018건 12.2%)가 뒤를 이었다.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도 상표 등록에 적극 나서 11개 기초단체가 100개 이상의 상표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표권 다보유 기초단체는 ▲ 강릉시(350건) ▲안성시(218건) ▲하동군(176건) ▲ 완주군(170건) ▲ 담양군(157건) 등이다.

  지자체의 상표등록은 꾸준히 증가하다가 2006년도 1,095건 등록을 기점으로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줄어들었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도에만 6월말 현재 986건 출원, 397건 등록이 이루어졌다.


 지자체의 상표등록이 증가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함평의 , 장성의 , 보령의 “머드축제” 등 지역축제 또는 명소와 연계한 브랜드 활용이 지역경제에 도움은 물론 지역홍보에 성공한 사례에 힘을 얻어 좋은 브랜드 개발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정상품별로는 전 상품에 고루 등록되어 있으나, 지역별 특성에 맞는 농축수산물품에 대한 상표등록이 전체의 25.1%에 해당하는 2,088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업 부문에도 13.4%인 1,114건이 등록되어 있으나 이중 지역경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음식·숙박업은 상대적으로 적은 167건이 등록되어 앞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 이영대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지자체 상표는 지역 주민의 상표활용을 통한 지역산업의 보호와 육성은 물론 지역홍보라는 측면에서 무형적인 효과가 매우 크므로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순회교육 등 교육과정 운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16개 광역자치단체 지역별 상표권 등록현황

                                                            (단위 : 건)

구분

합계

2000년 이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8,306

1,229

567

674

431

552

955

1095

611

994

801

397

강원

1,186

340

182

125

30

51

115

40

44

123

85

51

경기

1,134

62

58

115

58

89

169

133

119

136

167

28

전남

1,018

117

50

100

32

59

123

125

95

147

95

75

전북

766

108

92

35

56

18

91

227

41

52

29

17

충남

701

34

8

23

64

68

156

144

67

56

62

19

경북

693

133

25

22

24

45

40

52

59

154

63

76

경남

692

30

34

33

29

52

53

145

60

89

134

33

충북

596

199

28

38

36

25

47

68

40

41

56

18

서울

435

89

36

46

15

19

19

23

15

93

49

31

인천

257

9

 

20

25

32

21

80

2

39

9

20

부산

159

34

12

55

7

3

2

8

9

5

9

15

제주

152

19

3

26

3

29

10

11

9

24

14

4

대전

151

10

3

5

10

42

56

3

12

4

4

2

광주

144

16

11

5

23

14

19

19

5

19

12

1

울산

118

0

20

19

 

 

34

13

26

4

2

 

대구

104

29

5

7

19

6

 

4

8

8

11

7


연도별 지방자치단체 출원·등록현황

100건 이상 상표권을 보유한 지방자치단체 현황

구분

시군구

등록건

주요상표

1

강릉시

350

2

안성시

218

3

하동군

176

4

완주군

170

5

담양군

157

6

서천군

116

7

함평군

108

8

장성군

104

9

안동시

103

10

장수군

101

11

울진군

100



지정상품 및 서비스별 등록현황

분류

건수

지정상품 유형

31

721

식용, 신선한 육산물 등

30

718

식물성 식품

29

649

동물성 식품 및 야채 기타 식용 원예작물

16

370

종이, 종이제품 및 사무용품

25

310

의류, 신발, 모자

41

266

교육업, 연예업

33

249

알콜음료

32

239

알콜을 포함하지 않은 음료

21

233

가정용 또는 주방용 기구 및 용기

35

229

광고업, 기업관리업 등

18

217

가죽 및 모조가죽 제품

28

212

오락 및 놀이용구

14

194

귀금속 및 제품

20

186

가구 및 그 부품

43

167

음식업, 숙박업

24

158

직물 및 가정용 직물제 커버

3

151

청정체 및 화장용품제재

42

132

과학적, 기술적 서비스업

26

127

재봉용품

6

122

미가공 및 반가공의 일반금속

2

106

페이트,착색제,부식방제제

39

93

운송업

5

80

약제 및 기타 의료용 제제

9

79

전기 전자기기

8

73

공업용, 화학용 및 농업용 화학품

7

55

기계, 고장기계 및 모터와 엔진

19

55

비금속제 건축재료

27

51

완공된 마루 및 벽의 부착상품

36

46

보험업, 재무업, 금융업, 부동산업

1

43

공업용,농업용화학품

38

43

통신업, 방송업

34

42

흡연용품

44

41

의료서비스업, 임업서비스업 등

45

39

법무비스업 등

22

36

로푸, 충전용재료, 직물용 미가공 섬유

4

34

공업용 유, 유지, 연료 및 발광체

11

31

조명용, 가열용, 조리용, 건조용 장치 등

40

31

재료처리업

37

27

건축물업, 수선업, 설치서비스업

12

26

수송기계기구

15

22

악기

10

18

의료기기 및 재료

17

14

전기절연용, 단영용 및 방음용 재로

13

13

화기(총포탄 등)

23

12

직물용 실

다류

728

 

42~43

794

 

기타

24

 

8,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