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표준영정

한호(한석봉)

한호 (韓濩)
1543(종종 38)~1605(선조 38), 조선의 서예가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 본관은 삼화(三和), 개성(開城)출신. 어려서부터 어머니의 격려로 서예(書藝)에 정진하여 왕희지(王羲之), 안진경(顔眞卿)의 필법(筆法)을 익혀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의 각 체에 모두 뛰어났다. 그때까지 종국의 서체(書體)와 서풍(書風)을 모방하던 풍조(風潮)를 벗어나 독창적인 경지를 확립하여 석봉류(石峯流)의 호쾌(豪快), 강건(剛健)한 서풍을 창시했다.

1567년(명종 22)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글씨를 매우 잘써 사자관으로서 국가의 여러문서와 명나라 등에 보내는 외교문서를 도맡아 썼고, 중국에 사절이 갈때도 서사관으로 파견되었다. 1599년 사어(司禦), 이어 가평군수(加平郡守), 1604년 흡곡 현령, 존숭도감 서사관(尊崇都監書寫官)을 지냈다.

이 동안 명 나라에 가는 사신을 수행하거나 조선에 오는 사신을 맞을때 연석(宴席)에 나가, 그의 정묘한 필치로 외국인들을 매혹시켜 동양의 명필로 이름을 떨쳤으며, 왕명에 따라 천자문(千字文)을 해서로 썼는데 이것이 판각(板刻)되어서, 궁중이나 대신은 물론 전국 방방곡곡에 유포되어 온나라에 석봉체(石峯體)가 풍미하게 되었다.

그 후 석봉천자문은 조선말엽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에 거쳐 중간(重刊)되어져서, 우리나라 천자문 하면 이 책이 연상되리만큼 크게 일반화되었다. 후기의 김정희(金正喜)와 함께 조선 서예계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石峯書法)>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 등이 모간(模刊)되어 있을 뿐 진적(眞跡)으로 남은 것은 별로 없다. 그가 쓴 비문(碑文)이 많이 남아 있어 탁본(拓本)으로 유행하고 있다.

[作品 : 글씨] 箕子廟碑, 善竹橋碑 等
[文獻] 明宗, 宣祖寶錄, 國祖人物考 等

영 정 개 요
·표준영정지정년도: 1990
·제작작가: 홍용선
·영정크기: 91 X 117(가로X세로cm표시)
·소장지및소장인: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의 표준영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영  (0) 2010.05.04
김육  (0) 2010.05.04
영조  (0) 2010.05.04
철종  (0) 2010.05.04
정조  (0) 201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