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종근의 행복산책

전주시 향토문화유산 첫 지정의 의미

 
경기전 하마비 등 7점의 문화유산이 전주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전주시는 향토문화유산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지역에 분포한 문화유산 가운데 경기전 하마비 등 7점을 선정, 전주시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향토문화유산은 전주시 문화유산보호조례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것 가운데 향토사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을 향토문화유산 보호조례에 따라 ‘시 문화재’로  지정, 보호, 보존하는 제도를 말한다.
 시는 현재 국가지정문화재 14점과 지방문화재 63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같은 향토문화유산 지정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론 도내에서는 고창, 진안, 익산 등 여러 지자체에서 이미 지정을 하고 있는 가운데 해당 지역의 문화유산의 멸실을 막는 등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에 지정한 향토문화유산은 ▲만경대 암각시 ▲남고진 사적비 ▲경기전 하마비 ▲덕진공원 3층 석탑 ▲전북대 석불입상 ▲향교앞 박진효자비 ▲회안대군 신도비 등 7점이다.
 이 가운데 경기전 하마비와 회안대군 신도비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해 도 문화재위원회에 이를 신청하기로 했다.
 향토문화유산 중 만경대 암각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충신 정몽주 우국시로 고사와 함께 알려진데다 태조 이성계와 얽혀 있다는 점에서 전주의 ‘풍패지향’ 역사만이 아니라 민족사 차원에서 보존의 가치가 있으며 문화관광 자원으로서도 그 가치가 크다.
  남고진사적비는 남고산성의 수축경위와 남고진 설치에 대한 기록으로, 1846년에 세워졌다. 특히, 이 비는 조선시대 명필 창암 이삼만이 쓴 대표적인 금석문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번에 선정된 향토문화유산은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들이다. 시는 앞으로도 지역 문화유산을 적극 발굴, 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 관리함으로써 ‘전통문화도시’ 전주의 이미지를 한층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여 이에 거는 기대 또한 남다르다.
 시 당국은 향토문화유산 지정에 이어 조례에 나오는 대로 예산 지원에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입력 : 2009-09-09 09: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