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전주 요리솜씨에 서울여자 도망질할 것"

 

 

전북의 음식이 맛있다는데. 도대체 어느 정도일까

그 소문의 진상은 1928121일에 발간된 '별건곤(別乾坤)' 16, 17호에 실린 '팔도녀자 살님사리 평판기(八道女子 살림살이 평판기(評判記)’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월간지 별건곤(1926-1934)'창조','동인' '삼천리'같은 1920년대의 근대 잡지지만 시사적 내용보다는 주로 취미를 다룬 완전한 일반 대중잡지로 기능했다.

별건곤은 "요리를 잘하는 전라도 여자 중에서도 전주여자의 요리하는 법은 참으로 칭찬할 만하다. 맛도 맛이거니와 상()을 보는 것이라던지 만드는 법이라던지, 서울 여자가 갔다가 눈물을 흘리고 조남선(潮南線) 급행선을 타고 도망질할 것"이라고 평하고 있다.

이는 다소 과장한 듯하지만 서울 여자가 전주 여자의 음식 만들기와 상 차려내는 것을 보면 '비교되고 창피해서' 소리없이 줄행랑을 칠 것이라는 얘기다.

별건곤은 이어 "서울의 신선로가 명물은 명물이지만 전주 신선로는 그보다도 명물이다"며 전주 음식을 한껏 치켜세우고 나서 전주의 비빔밥, 순창의 고추장, 고산의 식혜, 남원의 약주, 군산의 생어찜 등도 명물로 꼽았다.

이처럼 전북의 음식 맛이 좋고 다양한 것은 우리나라의 농경역사를 대변하는 곡창지대인 김제평야의 쌀과 호남평야의 젖줄인 동진강, 청정지역인 서해안 주변의 풍성한 농수산물이 지형과 기후에 맞게 생산돼 독특한 조리법으로 승화됐기 때문이다.

전북의 음식 맛은 먹어도 먹어도 줄어들 것 같지 않은 성대한 상차림과 함께 손님을 즐겁게 해주는 주인의 입담까지 어우러져 '진미'를 선사한다.

한편 별건곤은 담양과 광주의 죽순채, 구례와 곡성의 탁주, 은어회 등도 맛이 좋다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