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추사 김정희의 가장 위대한 반찬

명문가에서 태어나 관직과 유배를 되풀이했던 추사 김정희(17861856)는 만년에 가장 큰 즐거움을 대팽두부과강채(大烹豆腐瓜薑菜) 고회부처아녀손(高會夫妻兒女孫)’이라고 했다.

 

좋은 반찬은 두부, 오이, 생강, 채소이고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 , 손자와 함께한다는 것이다.


명절이야말로 비교와 평가를 잠시 꺼두고 또 한 해를 무탈하게 버텨 낼 기운을 얻는 시간이다. 괴로움과 즐거움 모두를 가족이니까 함께할 수 있다. 조상을 핑계 삼아 웃고 떠들고 시끌벅적해도 마냥 좋은 날이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가시밭길 생의 하루하루를 넘어가는 것이 아닐까.

 

그가 어린이 글씨처럼 쓴 대팽두부(大烹豆腐)’ 대련이었다

 

大烹豆腐瓜薑菜(대팽두부과강채)

高會夫妻兒女孫(고회부처아녀손)

 

한자를 해석하면 이렇다

 

가장 위대한 반찬은 두부·오이·생강(원서엔 가지나물이고,

가장 훌륭한 모임은 부부와 아들딸·손자가 함께하는 것

 

이 글귀는 명나라가 망할 때 신하였던 오동리(吳東里)가 쓴 시 중추가연(中秋家宴)’의 경련(頸聯; 8구 형식의 한시에서 5~6)大烹豆腐瓜茄菜, 高會荊妻兒女孫(좋은 음식은 두부 오이 가지 나물/훌륭한 모임은 아내 아들딸 손자)‘라는 대구를 살짝 바꿔 쓴 것으로 추정한다.

 

대팽고회(大烹高會)’의 예서체 대련은 봉은사의 판전과 함께 추사가 칠십일과 시절에 쓴 명작이다. 죽음에 이르러서야 대팽과 고회, 인생의 참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이다.

 

협서를 다음과 같이 적었다.

 

此爲村夫子第一樂上樂

雖腰間斗大黃金印

食前方丈

侍妾數百

能享有此味者畿人

-爲古農書. 七十一果.

 

 

이것은 촌 늙은이의 제일 가는 즐거움이다.

비록 허리춤에 한 말()만한 큰 황금인을 차고,

밥 앞에 시중을 드는 여인들이 수백 명 있다 해도

능히 이런 맛 누릴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고농을 위해 쓴다. 71살의 과천노인

 

소박한 밥상과 사랑하는 가족이 그가 71세에 얻은 명제이다. 굳이 대련의 뜻을 설명한 것은 간절한 마음 때문 아닐까.

추사 만년의 따뜻한 인간미가 묻어나는 명구이다.

 

 김정희는 1840년 55세로 유배를 왔다.

 '위리안치'라는 형벌을 받았고 지금의 가택연금과 같은형벌로 누가 찾아와주지 않은 낮과 밤의 생활동안 외롭고 가혹함속에 그림,문학을 발전시켰다.

​척박한 제주 대정읍 안의 시골의 고립된 곳에서의 생활은 가족들이 보내주는 생필품과 음식도 있었지만 제주도까지 도착하면 많은 음식이 상해서 먹을수 있는것은 젓갈등 남은 것들로의 끼니를 때웠고 실제로 젓갈은 자주 드셨다고 기록되어있다.

당시  유배인의 신분이 낮은경우는 직접 집과 음식을 마련해야 했고,
명망있는 유배인은 유배인을 관리하는 보수주인이 있어 음식의 재료만은 구할수 있었지만 그래도 스스로 해서 먹어야했던 생활의 기록이 있다.

유배지와 바다가 가까운 곳이라 재료를 얻었 터이다.

 

따개비같은 고둥, 바위에 붙은 생물따위 낚시하여 잡은 생선과 겨우 얻은 소금으로 만든 생선조림, 방풍나물(갯방풍), 감자, 고구마,옥수수,보리와같은 곡물에 끓인 나물죽으로 한번의 끼니를 버텼다.

 

조밥의 날 된장이 전부였던 김정희선생님은 8년3개월 유배생활 끝에 음식은 '무엇을 먹느냐' 아닌 '누구와 먹느냐' 중요하다는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제주 사계절에는 봄엔 멜, 여름은 냉국과 자리, 가을에는 육지의 재료와 바다 해산물, 겨울엔 조밥이 전부 였다고 말한다.

김정희는 화전대신 호박전을 스스로 붙여 먹었고 유배시절 된장도 직접 담궜다고 전한다.

​유배지에서의 영양실조는 당연했지만 영양이 늘 부족하여 면역력이 낮아져 그 시대의 풍토병이 걸렸다니 건강상 문제가 참으로 많았다.

​ 3일에 한번은 먹어야했던 방풍나물죽은 건강을유지했던 음식으로 바닷가에 자라는 야생식물로 염증,폐질환 감기로 인한 호흡기질환에 좋은 무기질,비타민,식이섬유,단백질로 해독작용,면역력증가,통증,진통완화에 도움되는 약초라하여 봄,여름에 유용한 나물로 건강을 겨우 이겨냈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대팽(大烹)' 을 찾아다니며 세상을 돌아다녔던가.

 

산해진미를 다 먹어보았으나 돌아와 보니 소박한 두부와 오이생강 나물이 최고의 반찬이라는 것이다.

 

 세상에 많은 회합을 가져보았으나 돌아와 보니 사랑하는 아내와 아들 딸, 손자의 가족이 최고의 모임이라는 것이다. 인생 만년에 깨달은 그의 위대한 발견이었다.